경제
금융위원회 ‘소상공인 금융애로 해소 간담회’ 주요 내용
bluesky1496
2025. 7. 9. 06:01
2025년 7월 8일, 금융위원회는 서울 중구 신용회복위원회에서 권대영 사무처장 주재로 “소상공인 금융애로 해소를 위한 첫 번째 현장 간담회”를 개최했습니다
이번 간담회는 이재명 대통령이 7월 4일 충청권 타운홀 미팅에서 “빚을 진 소상공인들과 금융 당국의 의견을 직접 나눠보라”고 지시한 데 따른 조치입니다
소상공인의 금융 애로 현장 목소리
- 공공정보 5년 공유로 인한 신규 대출 거절, 기존 대출 상환 요구 증가, 카드 사용정지 등 금융 활동 제약에 대한 문제가 집중 제기됨
- 소상공인들은 “회생·파산 후에도 기록이 남아 일상 금융이 어렵다”고 호소했고, 신속한 정보 삭제를 요구했습니다
금융위의 개선 방안 – ‘5년 → 1년’ 단축 조치
- 법원 회생 인가자의 경우, 성실 상환 1년 후 공공정보를 신용정보원에서 삭제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
- 이는 개인워크아웃·새출발기금 프로그램과의 형평성을 고려한 조치입니다
- 소급 적용도 협의 중이며, 파산 면책자 정보 삭제는 현재 전문가 의견 수렴 단계입니다
대응 배경 및 정책 철학
- 권대영 사무처장은 “즉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즉시 조치해야 한다”는 대통령 지침에 따라 이번 조치를 취했다고 밝혔습니다
- 또한 “정책 수요자와 전문가의 현장 목소리를 청취하며 지속적으로 정책을 개선해 나가겠다”고 강조했습니다
기대 효과 및 향후 과제
- 신용 회복 → 대출 접근성 개선: 성실 상환자에 대한 공공정보 삭제는 금융권 접근성 회복에 직접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- 재기 지원 강화: 자영업 소상공인의 사회·경제적 재기 지원 기반이 강화될 전망입니다.
- 형평성·정합성 확보: 워크아웃·새출발기금과 함께 일관된 금융규칙 적용이 가능해졌습니다.
- 추가 개선 여지: 파산 면책자 삭제 기준 마련과 제도 개선은 전문가 의견 수렴 후 진행될 예정입니다.
시사점: 정책 흐름과 금융 생태계 변화
항목내용
정책 참여 확대 | 금융당국이 소상공인 현장의견을 직접 듣고 정책에 반영하는 적극적 소통 구조를 강화 |
재기 금융 시스템 강화 | 단순 채무조정에서 나아가, 성실 상환자에게 회복 기회 제공하는 제도 설계 |
신용정보 제도 보완 | 기존의 장기 정보 유지 방식에서 투명하고 짧은 기록 유지 체계로 전환 |
결론
금융위원회는 성실 상환 소상공인의 금융 정보 삭제 기간을 5년에서 1년으로 단축하는 즉각적 사실적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.
이는 이재명 대통령의 타운홀 지시를 반영한 첫 조치이며, 자영업 소상공인의 금융 접근성 회복과 재기 지원의 신호탄이 될 전망입니다. 동시에 현장 의견을 반영한 민생 중심 정책으로서, 향후 파산 면책자 정보 삭제 기준 마련 등 추가 개선도 예고되고 있습니다